오늘은 CentOS 7 설치하는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CentOS는 redhat 계열에 리눅스 배포판이고 명령어는 redhat과 비슷한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설치 방법을 아주 쉽게 설명하려고 하니 잘 모르시겠으면 차근차근 따라서 해보세요.
준비물
- CentOS 7을 설치할 PC 또는 서버 또는 버추얼 호스트
- CentOS 7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
1. 처음 ISO로 부팅을 하면 3가지 메뉴를 볼수있습니다.
- Install CentOS 7 (CentOS 7 설치)
- Test this media & Install CentOS 7 (설치 미디어를 테스트하고 CentOS 7 설치)
- Troubleshooting –> (트러블슈팅/문제해결 메뉴)
ISO 이미지 파일의 해쉬값을 비교해보신게 아니시라면 테스트 후 설치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MD5값을 확인했으므로 바로 설치로 넘어갑니다.
2. 인스톨 메뉴에 들어가면 설치에 앞서 몇가지 준비를 하게됩니다.
3. 설치할 준비가 되면 설치 인스톨러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4. 한국어로 선택후 계속 진행을 클릭해주세요.
5. 본격적인 설치를 진행하기전 옵션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6. 보안 정책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보안 정책에 관한 내용 redhat doc(영문) : 링크)
7. 소프트웨어 선택을 할수있습니다.
저는 필요한 패키지는 직접 설치하려고 하니 최소 설치로 선택하겠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구성해주시면 됩니다.)
8. 설치될 디스크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저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티션보다는 수동으로 직접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9. CentOS 7에는 파티션 계획을 선택할수도 있습니다.
저는 호환성 문제로 표준 파티션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0. 직접 마운트 지점을 추가해서 파티션을 나눌수 있습니다.
(특정한 목적이 아니시라면 여기를 클릭하여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11. 자동으로 파티션이 생성되면 필요에 맞게 수정해주시거나 수정하실게 없으시다면 완료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는 /boot, /boot/efi/, /, swap 4개의 파티션이 생성됬습니다.
/boot : 부팅에 필요한 파일이 저장되는 파티션입니다.
/boot/efi : UEFI / EFI 부팅을 사용할때 필요한 파일이 저장되는 파티션입니다.
(UEFI / EFI를 사용하지 않고 레거시 BIOS 방식을 사용하신다면 해당 파티션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 : 루트 디렉터리 입니다. 리눅스의 시스템파일, 사용자 파일, 서비스등이 설치되는 파티션입니다.
(디스크 용량이 큰경우 home 디렉터리를 분리한다던가 원하시는되로 구성하실수 있습니다.)
swap : 리눅스의 가상 메모리 입니다.
12. 리눅스 파티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제가 사용하는 환경에서 xfs는 호환성 문제를 자주 일으키기 때문에 저는 EXT4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3. EFI 파티션은 UEFI / EFI 로더가 읽을수 있도록 EFI 전용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합니다.
(건들지 마세요.!)
14. 루트 디렉터리도 EXT4 파일 시스템으로 변경해줍니다.
15. 위에서 설명드렸던데로 swap은 리눅스 가상메모리 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머신의 RAM용량이 2 GB 이므로 그대로 2 GB로 사용해줍니다.
REHL6 (레드햇) 권고
- 2 GB 이하 | RAM용량의 2배
- 2 ~ 8 GB | RAM용량과 동일
- 8 GB 초과 | 4 GB 이상
(자세한 설명 제타위키 : 링크)
16. 모든 구성이 완료되었으면 완료를 클릭하신후 변경 사항 적용을 눌러주세요.
17. KDUMP는 윈도우에서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듯 리눅스에서는 커널패닉이라는게 발생합니다.
커널패닉이 발생하면 갑자기 시스템이 종료, 재부팅등 문제가 발생합니다.
일반 PC에서는 뭐가 문제지라고 찾아보겠지만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엔지니어들은 집에 못가게 될겁니다.(-_-;;)
KDUMP를 활성화시키면 커널패닉이 발생할경우 메모리 정보를 vmcore 라는 파일을 남겨줘 커널패닉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18. 네트워크를 미리 설정해줄수 있습니다.
고정 IP를 미리 잡아보도록 하죠.
19. 설정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할수 있는 창이 표시됩니다.
IPv4에 고정IP를 넣고 저장을 눌러주세요.
20. 고정IP가 입력되었으면 오른쪽 상단에 버튼을 켬으로 바꿔주세요.
21. 설치 전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시한번 빠진게 없는지 확인후 설치 시작 버튼을 눌러 진행해주세요.
22. 설치 시작을 누르면 설치 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ROOT 암호를 설정해주시고 사용자 계정이 필요하시다면 생성해주세요.
23. ROOT 암호가 설정되었다면 설치가 끝날때까지 기다려주세요.
24.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재부팅을 해주세요.
25. 재부팅이 완료되면 로그인할수 있는 콘솔창이 표시됩니다.
최소 버전으로 설치를 진행하면 GUI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만약 GUI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시면 재설치를 진행하시거나 GNOME, Xwindow 같은 GUI 패키지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여러 패키지를 설치해보고 또 기회가 된다면 CentOS 7으로 블로그 서버를 만들어 보도록해요.